잘 이기는 것만큼이나 어떻게 지느냐도 중요하겠죠.
200년 넘게 대통령제를 유지한 미국에는 '패배선언'이라는 문화가 있습니다.
패자가 먼저 승복하고, 승자는 이를 포용하면서 '하나의 미국'을 강조하는 겁니다.
지난 1960년 미 대선, 당시 존 F. 케네디와 닉슨이 맞붙어서 닉슨이 아주 근소한 차이로 졌죠.
일부 주에서 부정선거 논란이 있었지만 닉슨은 "헌법과 민주주의가 우선"이라며 승복했습니다.
선거 당일 밤, 또는 다음날 패배선언을 하는 일종의 전통이 생긴 건데요.
기술 발전으로 선거 집계 속도가 빨라졌고 TV를 통해 각 주 개표 결과가 전달된 것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4년 전 대선, 힐러리는 선거 다음 날 새벽 3시쯤 패배 선언했습니다.
'녹슨 지대'라는 의미의 러스트벨트, 미국 북부 노동자들 밀집지역인데, 노동조합은 전통적 민주당 지지 기반이죠.
여기서도 밀리는 걸 확인하자 패배를 인정한 겁니다.
[힐러리 클린턴 / 前 민주당 대선후보(지난 2016년 : 도널드 트럼프는 우리의 대통령이 될 것입니다. 우리는 열린 마음으로 그가 이끌 기회를 줘야만 합니다.]
물론 번복 사례도 있었습니다.
지난 2000년, 유권자 득표율은 더 높았던 민주당 앨 고어 후보가 선거인단 4명 차이로 졌습니다.
플로리다에서 500여 표 차이로 선거인단 29명을 넘겨줬고, 투표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 패배선언을 한 차례 번복한 건데요.
결과적으로 연방대법원에서 재검표를 허락하지 않았고 고어 후보는 다시 패배를 깨끗이 인정하는 선택을 했습니다.
[앨 고어 / 前 민주당 대선후보(지난 2000년) : 의심의 여지가 없도록 합시다. 나는 대법원 결정에 강하게 반대하지만, 이 최종 결과를 받아들입니다. 오늘 밤 우리의 국민 통합과 민주주의의 힘을 위해 나의 양보를 제안합니다.]
이번 선거에서는 이런 문화가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합니다.
코로나 19로 우편투표가 급증했기 때문인데요,
접수 시간도 주별로 달라서 빠른 집계가 쉽지 않습니다.
'코로나 대선' 속 불복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우편투표 상당수는 민주당 지지자고, 반면 공화당 지지자는 현장투표를 선호하는 경향이 큽니다.
만약 현장투표 결과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우세하고, 이후 우편투표로 격차가 좁혀진다면 '패배선언'이 쉽지 않겠죠, 오히려 먼저 특정 후보의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01104124719562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